목차
3주차 범위
Chapter 06: 메모리와 캐시메모리
Chapter 07: 보조기억장치
Chapter 08: 입출력장치
벌써 책기준으로는 진도를 반정도 나갔네요
남은주차도 화이팅
학습 내용 정리
Chapter 06: 메모리와 캐시메모리
RAM 의 특징
- 휘발성 메모리: 전원을 끄면 저장된 내용이 사라짐
반대로 비휘발성 메모리로는 ROM, 하드디스크, SSD 등이 있음
RAM 종류
DRAM: Dynamic RAM
- 저장된 데이터가 동적으로 변하는 RAM
- 데이터의 소멸을 막기 위해 일정주기로 데이터를 재활성화
- 소비 전력 낮음, 집적도가 높음 -> 대용량으로 설계 용이
SRAM: Static RAM
- 시간이 지나도 저장된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음
- 집적도 낮음, 소비 전력 높음
DRAM | SRAM | |
재충전 | 필요 | 필요 X |
속도 | 상대적으로 느림 | 빠름 |
가격 | 저렴함 | 비쌈 |
집적도 | 높음 | 낮음 |
소비전력 | 낮음 | 높음 |
용도 | 주기억장치 | 캐시 메모리 |
SDRAM: 클럭신호와 동기화된 DRAM
DDR SDRAM: 대역폭을 넓혀 속도가 빠른 SDRAM
물리 주소: 하드웨어가 사용하는 주소
논리 주소: CPU와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주소
논리 - 물리 주소 간 변환:
- MMU(메모리관리 장치) 에 의해 수행
- 논리 주소 + 베이스 레지스터 값을 더하여 물리 주소로 변환
배이스 레지스터: 프로그램의 첫 물리 주소를 저장한 레지스터
한계 레지스터
- 프로그램의 논리 주소 범위를 벗어나는 명령어 실행을 방지, 다른 프로그램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호
- 논리 주소의 최대 크기를 저장 후 접근 하고자 하는 논리 주소가 한계 주소보다 작은 지 검사
논리 주소 -> 물리 주소 변환 과정
저장 장치 계층 구조: CPU가 메모리에 빠르게 접근 할 수 있도록 분류
상단에서 부터 레지스터 -> 캐시 메모리 -> 메모리 -> 보조기억장치
구조도의 상단에 있을수록 속도가 빠르고 용량이 작음
캐시 메모리: CPU의 연산 속도와 메모리 접근 속도의 차이를 줄임
캐시 적중률: 캐시가 히트 되는 비율
캐시 적중률 공식
캐시 히트 횟수 / (캐시 히트 횟수 + 캐시 미스 횟수)
Chapter 07: 보조기억장치
하드 디스크 구성 요소
플래터: 하드디스크에서 실제로 데이터가 저장
스핀들: 플래터를 회전시키는 요소
헤드: 플래터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읽고 쓰는 요소
플래터의 구성 요소
트랙: 플래터를 동심원으로 나누었을 때 하나의
섹터: 하드 디스크의 가장 작은 전송 단위
실린더: 같은 트랙이 위치한 곳을 연결한 논리적 단위
하드 디스크가 데이터 접근 시간
- 탐색 시간: 데이터가 저장된 트랙까지 헤드 이동 시키는 시간
- 회전 지연: 헤드가 있는 곳으로 플래터를 회전 시키는 시간
- 전송 시간: 하드 디스크와 컴퓨터 간의 데이터를 전송 하는 시간
플래시 메모리의 종류
- SLC: 한 셀로 2개의 정보 표현
- MLC: 한 셀로 4개의 정보 표현
- TLC: 한 셀로 8개의 정보 표현
구분 | SLC | MLC | TLC |
셀당 bit | 1 | 2 | 3 |
수명 | 길다 | 보통 | 짧다 |
읽기/쓰기 속도 | 빠르다 | 보통 | 느리다 |
참조
https://news.skhynix.co.kr/post/data-in-nand-flash-memory
[궁금한 반도체 WHY] 낸드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저장방식, 어떻게 다를까? SLC/MLC/TLC/QLC
우리가 사용하는 메모리카드, USB, SSD 등의 저장매체에는 낸드플래시(NAND Flash) 메모리가 사용됩니다
news.skhynix.co.kr
RAID: 여러개의 물리적 보조기억장치를 하나의 논리적 보조기억장치로 사용 하는 기술
RAID 의 종류 (하단 심화과제 참조)
종류 | 설명 |
레벨 0 | 스트라이핑 (하나의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분산 저장) |
레벨 1 | 디스크 미러링 (데이터를 다른 디스크에 복사하여 복사본 유지) |
레벨 2 | 해밍코드 등을 이용하여 에러 검출 능력 없는 드라이브에 오류청정 능력 제공 |
레벨 3 | 비트 단위로 데이터 저장, 한 드라이브에는 패리티 정보 저장 |
레벨 4 | 블록 단위로 데이터 저장, 한 드라이브에는 패리티 정보 저장 |
레벨 5 | 패리티 정보를 모든 드라이브에 분산 기록 |
Chapter 08: 입출력장치
장치 컨트롤러의 구조
- 데이터 레지스터
- 상태 레지스터
- 제어 레지스터
입출력 방법
- 프로그래 입출력
- 인터럽트 기반 입출력
- DMA 입출력: CPU를 거치지 않고도 입출력장치, 메모리가 상호 작용
입출력 방법 종류
- 메모리 맵 입출력: 메모리 주소 공간과 입출력 주소 공간을 하나로 간주
- 고립형 입출력: 메모리 주소 공간과 입출력장치 주소 공간을 분리
사이클 스틸링: DMA의 시스템버스 이용
과제
기본 과제 : p.185 3번 문제
p.205 1번 문제
p.185 3 .설명에 맞는 보기를 고르시오
SRAM, DRAM
- 주로 캐시 메모리로 사용됨 : (1)
- 주로 주기억장치로 사용됨: (2)
- 대용량화 유리: (3)
- 집적도 낮음: (4)
답:
(1): SRAM
(2): DRAM
(3): DRAM
(4) SRAM
p.205 1 .저장장치 계층 구조도를 채우시오
답:
레지스터, 캐시 메모리, 메모리, 보조기억장치
심화 과제 : RAID 의 정의와 종류
RAID: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에 중복 데이터를 나누어 저장해 디스크가 고장나더라도 해당 디스크를 교체하면 원래의 데이터가 복원되는 신뢰성 높은 저장 장치
RAID 종류
종류 | 설명 |
레벨 0 | 스트라이핑 (하나의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분산 저장) |
레벨 1 | 디스크 미러링 (데이터를 다른 디스크에 복사하여 복사본 유지) |
레벨 2 | 해밍코드 등을 이용하여 에러 검출 능력 없는 드라이브에 오류청정 능력 제공 |
레벨 3 | 비트 단위로 데이터 저장, 한 드라이브에는 패리티 정보 저장 |
레벨 4 | 블록 단위로 데이터 저장, 한 드라이브에는 패리티 정보 저장 |
레벨 5 | 패리티 정보를 모든 드라이브에 분산 기록 |
출처: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
http://www.ktword.co.kr/test/view/view.php?nav=2&no=863&sh=RAID
RAID
"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(상업화포함) 가능합니다"
www.ktword.co.kr
'혼공- 컴퓨터구조, 운영체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혼공컴운]5주차_프로세스 동기화/ 교착 상태 (0) | 2025.02.14 |
---|---|
[혼공컴운] 4주차_운영체제 시작하기/ 프로세스와 스레드/ CPU 스케줄링 (0) | 2025.02.05 |
[혼공컴운] 2주차_CPU의 작동원리/ CPU 성능 향상 기법 (1) | 2025.01.15 |
[혼공컴운] 1주차_컴퓨터 구조 시작하기/ 데이터/ 명령어 (1) | 2025.01.02 |
혼공학습단 13기 시작 - 컴퓨터구조, 운영체제 (0) | 2024.12.31 |